백준 2748번 C언어 피보나치 배열
피보나치 배열은 그렇게 어려운 코드라고 생각되지 않았는데 만만하게 보고 들어간 문제 이번에 큰 코 다쳤네요.
항상 백준에서 많이 배우는 것 같습니다.
위 코드가 정답 코드입니다.
확인해보니까 2747번 코드는 그냥 피보나치 코드이고, 이번 코드는 90번째까지 출력해야 하는 코드더군요. 90번째까지 출력하려면 그냥 int 정수형으로는 90번째만큼 큰 숫자가 커버가 되지 않습니다. 그래서 long long int형으로 선언해주었습니다.
변수 선언은 C언어를 배울 때 굉장히 앞 부분에 있는 것인데 다시 한 번 기초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.
저도 까먹지 않기 위해 다시 정리해봅니다.
*정수형
char : -128~127
unsigned char : 0~255
short : -32768~32767
int : -2,147,483,648 ~ -2,147,483,647
long : -2,147,483,648 ~ -2,147,483,647
unsigned short : 0 ~ 65535
unsigned int : 0 ~ 4,294,967,295
unsigned long : 0 ~ 4,294,967,295
long long :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(%lld)
unsigned long long : 0 ~ 18,446,744,073,709,551,615
unsigned long long은 무려 1,800경의 거대한 수네요.. 평생 쓸 일이 있을까 했는데 이런 백준 사이트에서 벌써 쓸 일이 있다니 ㅋㅋ